본문 바로가기
저학년 추천책

"잔치에 온 산신아비" - 우리 전통 문화와 공동체 정신을 담은 따뜻한 그림책

by 양똥게장 서포터 2025. 3. 28.
반응형

 

김기정 작가의 글과 박철민 화백의 그림으로 완성된 "잔치에 온 산신아비"를 소개해 드립니다. 이 그림책은 우리의 전통 문화와 신화를 아이들에게 친근하게 전달하면서도 가족과 공동체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따뜻한 이야기입니다.

익살스러운 산신아비와 마을 잔치

"잔치에 온 산신아비"는 봄날 단옷날 마을 잔치를 배경으로 펼쳐집니다. 마을 사람들은 각자의 역할을 맡아 잔치 준비에 분주합니다. 할머니는 떡을 만들고, 엄마는 전을 부치고, 이모는 불을 피우며, 어린 자야는 심부름을 하며 온 가족이 함께 준비하는 모습이 정겹게 그려집니다.

이런 분주한 마을에 불쑥 나타난 산신아비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무서운 귀신이 아닌, 익살스럽고 우직한 우리네 신의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그는 자야의 집에 방문하여 마을 잔치에 참여하고, 한바탕 놀고 가면 그해는 풍년이 든다는 전설을 실현시키려 합니다.

전통 문화와 신화의 현대적 재해석

이 그림책의 큰 매력은 한국의 전통적인 신화와 문화를 현대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재해석했다는 점입니다. 산신아비는 우리 전통 신화에 등장하는 산신(山神)을 의인화한 캐릭터로, 아이들에게 무섭거나 거리감 있는 존재가 아닌 친근하고 재미있는 이웃으로 다가옵니다.

특히 단오 명절과 마을 잔치라는 전통 문화적 배경은 아이들에게 우리의 세시풍속과 공동체 문화를 자연스럽게 소개하는 교육적 가치가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이 접하기 어려운 전통 잔치의 모습과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하여, 문화적 뿌리를 알아가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박철민 화백의 생동감 넘치는 그림

박철민 화백의 그림은 이 이야기에 생명을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산신아비의 익살스러운 표정, 마을 사람들의 분주한 움직임, 잔치의 흥겨운 분위기가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특히 한국적인 색감과 구도는 우리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그림 속에는 전통 가옥, 음식 준비 과정, 마을 공동체의 모습 등 우리 문화의 다양한 요소가 섬세하게 담겨 있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전하는 소중한 가치

"잔치에 온 산신아비"는 다음과 같은 소중한 가치를 아이들에게 전달합니다:

  1. 공동체 정신: 마을 사람들이 함께 잔치를 준비하고 즐기는 모습을 통해 협력과 나눔의 가치를 배울 수 있습니다.
  2. 전통 문화의 소중함: 우리의 전통 명절과 풍습을 자연스럽게 접하며 문화적 자긍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3. 가족의 의미: 가족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을 담당하며 함께 일하는 모습은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웁니다.
  4. 자연과 인간의 조화: 산신아비를 통해 자연을 존중하고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며 나눌 수 있는 대화

이 그림책을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대화를 나눠보세요:

  • "산신아비는 어떤 모습이었니?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신화 속 인물과 어떻게 다를까?"
  • "우리 가족이나 친척들과 함께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준비했던 기억이 있니?"
  • "우리 전통 명절 중에 알고 있는 것은 어떤 것이 있니?"
  • "마을 사람들이 함께 잔치를 준비하는 모습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이런 대화는 아이가 책의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고,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잔치에 온 산신아비"는 우리의 전통 문화와 신화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귀중한 그림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이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가족과 공동체의 소중함을 배우는 시간을 가져보세요.